전체 글298 안전보건관리계획서 # 안전보건관리계획서 작성 항목 회사를 다니다보면 연말에 사업계획을 한 번 정도는 세워 보거나 경험해 본적이 있을 것 입니다.안전보건관리계획서란 쉽게 말해서 안전보건의 사업계획서라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쉬울 것으로 보입니다. 보통 연말에 다음 해의 안전보건관리계획서를 작성해서 안전보건관리책임자의 결재를 받아서 보관하고 그 계획서의 일정에 따라 업무를 진행하게 됩니다. 당연히 법적 의무사항과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과 운영이라는 관점을 기본으로 하여 작성을 하게 됩니다. 안전보건방침 및 목표 / 위험성평가 / 산업안전보건위원회 / 협력회사 협의체 및 합동점검 계획 / 안전보건관리조직 / 안전보건예산 / 안전보건교육 및 점검 / 유해위험기계기구 현황 및 검사 계획 / 법적 안전보건 선임자 현황 등 법령에 명기 된.. 2024. 11. 19. 부의 확장 - 나만의 무형자산과 세상을 연결하자 # 지금 당신이 흘리는 땀은 자본주의가 원하는 노력이 아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tmlS6-TUOXI&t=13s 이 말이 참 뼈를 때리는 말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세상에 있는 사람들 중에 과연 열심히 살지 않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 ?나름데로 최선을 다해서 살아가고 있고 스트레스 속에서 직장 생활을 하고 자신의 사업을 이끌고 나가고 있습니다. 과연 부를 만들어낼 수 있는 능력이 무엇을 말하는지 궁금증이 들었고 이 책을 주의 깊게 읽게 되었습니다.PART Ⅰ. 부는 연결이다 : 돈에 대한 아이큐가 부를 결정한다01. 부는 단 한 순간도 독립적으로 존재한 적 없다한때 10억 원을 벌어본 사람 vs. 당신 | 곱하기의 대상이 보이지 않는다02. 지속 가능한 성공방정식을.. 2024. 11. 19. 블로그 작성글 100개 달성 # 블로그 운영의 첫 번째 목표 달성! 7월부터 티스토리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세웠던 소소한 첫 번째 목표를 달성 했습니다. 글 100개 이상 쓰기가 소소한 첫 번째 목표 였습니다. 나름데로 분석을 해 보니 내 업무와 관련 된 팁과 지식을 나누는 것을 우선으로 쓰려고 시도를 했던 것이 그래도 안전 쪽 게시판의 글이 가장 많았습니다. 그리고 24년 들어와서 독서를 많이 하고 기록을 남기겠다고 마음 먹고 틈틈히 읽은 책에 대한 리뷰와 독서평도 적절히 작성을 해서 소통을 도모한 것도 목표를 이룰 수 있었던 힘이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제는 내가 가지고 있는 경험이나 기술과 팁, 그리고 앞으로 계속 생길 독서를 통한 인사이트라는 무형자산을 어떻게 유형자산으로 바꿀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을 해 봐야 할 시간이 .. 2024. 11. 17. 안전보건관리규정 - 샘플 # 산업안전보건법 제 25조 산업안전보건법 제 25조① 사업주는 사업장의 안전 및 보건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된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여야 한다.1.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관리조직과 그 직무에 관한 사항2. 안전보건교육에 관한 사항3. 작업장의 안전 및 보건 관리에 관한 사항4. 사고 조사 및 대책 수립에 관한 사항5. 그 밖에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사항② 제1항에 따른 안전보건관리규정(이하 “안전보건관리규정”이라 한다)은 단체협약 또는 취업규칙에 반할 수 없다. 이 경우 안전보건관리규정 중 단체협약 또는 취업규칙에 반하는 부분에 관하여는 그 단체협약 또는 취업규칙으로 정한 기준에 따른다.③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여야 할 사업의 종류, 사업장의 상시근로자 수 및 안전보건관리규정.. 2024. 11. 17. 오늘의 업무 - 협력회사 평가 현장 방문 # 협력회사 평가 어제와 오늘 협력회사 평가를 목적으로 시흥과 인천에 있는 업체를 방문해서 여러가지 안전보건 서류를 확인하고 평가 했습니다. 평가를 위해서 서류를 확인하면서 느낀 것이 있습니다.제조업의 인력이 정말 고령화 아니면 외국인화 되어 간다는 사실을 현장에서 느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 안전 쪽으로 일을 하기가 더 힘들어 질 것 같다는 생각과 함께 현장의 구인 문제점을 생각 해 볼 수 있었습니다. 위험성 평가와 안전교육 그리고 소방에 대한 교육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지 그리고 중소업체의 현실 상 이 것에 대한 교육이 제대로 될 수 있을까 하는 의구심 또한 들었습니다. 고용노동부와 관계 부처에서는 이런 부분들을 과연 얼마나 고민을 하고 있을지 의구심이 들기도 하고 이런 어려움들을 어떤 .. 2024. 11. 15. 이전 1 ··· 37 38 39 40 41 42 43 ··· 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