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27 중대 재해 발생 시 작업 중지 조치 # 중대재해 혹은 산업재해 발생 시 처리 절차 및 관련 사항 산업 재해 발생 시에는 재발방지를 위해 재해발생 원인과 재발방지 계획 등을 사업주가 기록하고 보존하도록 의무화 되어 있습니다.사업주는 산업재해 발생 후 발생 날로부터 1개월 이내에 관할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산업재해조사표 제출 의무가 있으며, 중대재해의 경우 지체 없이 관할 지방고용노동관서에 보고 해야만 합니다.(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지 제30호 서식 참조 - 산업재해조사표) 그리고 중대재해 발생 시에는 작업중지 조치가 기본적으로 내려지며 사업장 전체 혹은 재해 발생 공정 및 유사 공정에 대한 작업중지가 내려집니다.이 부분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 봅시다. 1) 관련 법령산업안전보건법 제 55조 (중대재해 발생 시 고용노동부 장관의 작업중지 조치.. 2024. 8. 29. 유해위험물질 분류 - 산업안전보건법 # 산안법에 따른 유해위험물질 분류 1)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유해위험물질 분류표중요 물질관리대상물질 : 특수건강검진 / 작업환경측정 / 환기장치 설치 등의 보건 조치가 필수인 물질이며 일반 산업현장에서 가장 많은 종류의 물질들이 해당 물질에 속한다.특별관리물질 : 용접봉 등 일부 물질에 해당하며 특별관리물질의 구입, 배포, 사용에 대한 취급일지의 작성 및 유지관리가 필요한 물질을 의미한다.종류정의물질 예시근거유해물질제조등 금지물질제조, 수입, 양도, 제공 불가B-나프틸아민과 그염등법 제 117조시행령 제 87조허가대상물질대체물질이 개발되지 않은 물질베릴륨등법 제 118조시행령 제 89조관리대상물질근로자에게 상당한 건강한 건강장해를 일으킬 우려가 있어 법 제 39조에 따라 건강장해 예방을 위한 보건상 조.. 2024. 8. 28. 일의 개념 - 사무력 (생각하는 힘) # 진짜 일과 가짜 일 당신은 진짜 일을 하고 있습니까 아니면 유지와 성장의 부담이 되는 가짜 일을 하고 있습니까? 모두가 바쁘다. 그러다 보니 일의 속성과 개념에 대해서 생각해보면서 일을 하기는 어렵다.하지만 당신의 성장과 미래를 위해서는 일을 구분해야 한다. 한 번 체크 해 보기를 바란다.당신의 하루 일과 중 중요한 일과 해야만 하는 일이 몇 % 정도 차지하고 있는지 말이다. 누군가는 행사성이나 의전 업무도 해야만 하는 일이라고 이야기 할 수도 있다.조직 생활에서는 물론 그럴지도 모르지만 진정한 실력을 갖추고 싶은 사람에게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내일이 월요일이다.내일 아침에 출근해서 나의 업무를 점검해보자. 얼마나 일의 비중이 되어 있는지와 어떻게 A,B 종류의 일의 비중을 높혀 나갈.. 2024. 8. 25. 안전보건표지 부착 장소 # 유해.위험한 장소에 대한 안전보건표지 부착에 대한 법령 사항 1) 관련 법령산업안전보건법 제 37조 (안전보건표지의 설치ㆍ부착) ① 사업주는 유해하거나 위험한 장소ㆍ시설ㆍ물질에 대한 경고, 비상시에 대처하기 위한 지시ㆍ안내 또는 그 밖에 근로자의 안전 및 보건 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사항 등을 그림, 기호 및 글자 등으로 나타낸 표지(이하 이 조에서 “안전보건표지”라 한다)를 근로자가 쉽게 알아 볼 수 있도록 설치하거나 붙여야 한다. 이 경우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에 따른 외국인근로자(같은 조 단서에 따른 사람을 포함한다)를 사용하는 사업주는 안전보건표지를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바에 따라 해당 외국인근로자의 모국어로 작성하여야 한다. ② 안전보건표지의 종류, 형태, 색채, 용도.. 2024. 8. 25. 산업안전보건법 과태료 부과 기준 # 산업안전보건법 과태료 부과 대상 1) 부과 대상산업안전보건법은 대부분 사업주를 의무주체로 규정하고 있어, 원칙적으로 실제 위반행위자와 관계없이 당해 사업주가 과태료 부과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개인보호구 착용, 안전보건개선계획 등을 준수하지 않은근로자에게는 5~15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2) 부과 절차과태료는 고용노동부장관(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이 부과ㆍ징수하며, 과태료를 부과할 경우에는 당해 위반행위를 조사ㆍ확인한 후 위반사실과 과태료 금액 등을 서면으로 명시하여 이를 납부할 것을 과태료 처분 대상자에게 통지하게 됩니다. 3) 즉시 과태료 부과 대상사업장에서 산업재해 발생보고를 하지 않거나, 근로자에 대한 안전ㆍ보건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등 산업안전보건법을 위반할 경우 시정기회 없이 즉.. 2024. 8. 24. 이전 1 ··· 35 36 37 38 39 40 41 ··· 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