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관리 업무 지식

크레인 안전

by selfstory84 2024. 10. 22.
반응형

# 크레인 안전장치 

 

크레인은 산업현장에서 가장 자주 볼 수 있는 장비 중에 하나이며 현장에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장비입니다.

 

평소에 현장을 다닐 때나 점검을 할 때 기본적으로 법적인 내용을 알고 있으면 점검에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정의 

 

- 크레인 (crane) :  훅 (hook)이나 그 밖의 달기기구를 사용하여 화물의 권상과 이송을 목적으로 일정한 작업공간 내에서 반복적인 동작이 이루어지는 기계

- 타워크레인 (tower crane) : 수직타워의 상부에 위치한 지브(jib)를 선회시키는 크레인

 

주요 구조부
가. 천장주행 및 갠트리 크레인


  1) 크레인 거더, 교각 또는 새들 등의 구조부분
  2) 원동기
  3) 브레이크
  4) 와이어로프 또는 달기체인
  5) 주요 방호장치
  6) 훅 등의 달기 기구
  7) 제어반
나. 타워크레인

  1) 지브 및 타워 등의 구조부분
  2) 원동기
  3) 브레이크
  4) 와이어로프
  5) 주요 방호장치
  6) 훅 등의 달기기구
  7) 윈치, 균형추
  8) 설치기초 등
  9) 제어반

 

법적 정의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132조) - 기술사 시험 기출문제
제132조(양중기)
① 양중기란 다음 각 호의 기계를 말한다. <개정 2019. 4. 19., 2021. 11. 19.>

  1. 크레인[호이스트(hoist)를 포함한다]
  2. 이동식 크레인
  3. 리프트(이삿짐운반용 리프트의 경우에는 적재하중이 0.1톤 이상인 것으로 한정한다)
  4. 곤돌라
  5. 승강기 
② 제1항 각 호의 기계의 뜻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크레인"이란 동력을 사용하여 중량물을 매달아 상하 및 좌우[수평 또는 선회(旋回)를 말한다]로 운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계 또는 기계장치를 말하며, "호이스트"란 훅이나 그 밖의 달기구 등을 사용하여 화물을 권상 및 횡행 또는 권상동작만을 하여 양중하는 것을 말한다.
  2. "이동식 크레인"이란 원동기를 내장하고 있는 것으로서 불특정 장소에 스스로 이동할 수 있는 크레인으로 동력을 사용하여 중량물을 매달아 상하 및  좌우(수평 또는 선회를 말한다)로 운반하는 설비로서 「건설기계관리법」을 적용 받는 기중기 또는 「자동차관리법」제3조에 따른 화물ㆍ특수자동차의 작업부에 탑재하여 화물운반 등에 사용하는 기계 또는 기계장치를 말한다.
  3. "리프트"란 동력을 사용하여 사람이나 화물을 운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계설비로서 다음 각 목의 것을 말한다.
    가. 건설작업용 리프트: 동력을 사용하여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운반구를 매달아 사람이나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설비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 및 성능을 가진 것으로 건설현장에서 사용하는 것
    나. 산업용 리프트: 동력을 사용하여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운반구를 매달아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설비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 및 성능을 가진 것으로 건설현장 외의 장소에서 사용하는 것
    다. 자동차정비용 리프트: 동력을 사용하여 가이드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지지대로 자동차 등을 일정한 높이로 올리거나 내리는 구조의 리프트로서 자동차 정비에 사용하는 것
    라. 이삿짐운반용 리프트: 연장 및 축소가 가능하고 끝단을 건축물 등에 지지하는 구조의 사다리형 붐에 따라 동력을 사용하여 움직이는 운반구를 매달아 화물을 운반하는 설비로서 화물자동차 등 차량 위에 탑재하여 이삿짐 운반 등에 사용하는 것
   4. "곤돌라"란 달기발판 또는 운반구, 승강장치, 그 밖의 장치 및 이들에 부속된 기계부품에 의하여 구성되고, 와이어로프 또는 달기강선에 의하여 달기발판 또는 운반구가 전용 승강장치에 의하여 오르내리는 설비를 말한다.
   5. "승강기"란 건축물이나 고정된 시설물에 설치되어 일정한 경로에 따라 사람이나 화물을 승강장으로 옮기는 데에 사용되는 설비로서 다음 각 목의 것을 말한다.
    가. 승객용 엘리베이터: 사람의 운송에 적합하게 제조ㆍ설치된 엘리베이터
    나. 승객화물용 엘리베이터: 사람의 운송과 화물 운반을 겸용하는데 적합하게 제조ㆍ설치된 엘리베이터
    다. 화물용 엘리베이터:
         화물 운반에 적합하게 제조ㆍ설치된 엘리베이터, 조작자 또는 화물취급자 1명은 탑승할 수 있는 것

         (적재용량이 300킬로그램 미만인 것은 제외한다)
    라. 소형화물용 엘리베이터
         음식물이나 서적 등 소형 화물의 운반에 적합하게 제조ㆍ설치된 엘리베이터, 사람의 탑승이 금지된 것

    마. 에스컬레이터:
         일정한 경사로 또는 수평로를 따라 위ㆍ아래 또는 옆으로 움직이는 디딤판을 통해 사람이나 화물을 승강장으로 운송
         시키는 설비

 

용어 정의

 

- 정격하중(rated load)

크레인의 권상(호이스팅)하중에서 훅, 크래브 또는 버킷 등 달기기구의 중량에 상당하는 하중을 뺀 하중을 말한다. 다만, 지브가 있는 크레인 등으로서 경사각의 위치에 따라 권상능력이 달라지는 것은 그 위치의 권상하중에서 달기기구의 중량을 뺀 하중을 말한다.

- 권상하중(hoisting load) : 들어 올릴 수 있는 최대의 하중을 말한다.

- 정격속도(rated speed) : 정격하중에 상당하는 하중을 크레인에 매달고 권상, 주행, 선회 또는 횡행할 수 있는 최고속도를 말한다.

- 스팬(span) : 주행레일 중심 간의 거리를 말한다.

- 주행(travelling) : 크레인 일체가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 횡행(traversing) : 크래브(crab) 또는 트롤리(trolley)가 거더, 트랙, 로프, 지브 등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 기복(luffing) : 수직면에서 지브 각(angle)의 변화를 말한다.

- 수평 기복(level luffing) : 화물의 높이가 자동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지브가 기복하는 것을 말한다.

 

위험성

 

기계구조부분의 결함, 중량물의 취급 및 운전기능의 미숙으로 인한 재해

- 매단 물건의 낙하

와이어로프의 절단, 화물이 로프 이탈, 난폭운전 및 운전미숙, 권상용 와이어로프의 과권으로 인한 절단

- 매단 화물이나 기체에 충돌 또는 협착 : 제한구역 출입, 작업자의 부주의, 난폭운전

- 크레인의 전도 : 정격하중 초과 인양, 지반 불안정, 난폭운전

- 크레인의 파괴 : 구조 설계상 불량, 부재의 균열 발생, 부재의 불량, 규격미달, 제작 불량

- 작업자의 추락 : 작업자의 부주의, 안전조치 미실시

 

재해 예방 대책

 

- 안전장치의 기능유지 : 과부하방지장치, 권과방지장치, 비상정지장치, 브레이크장치, 훅 해지장치 등

- 정격하중 준수

- 출입금지구역설정

- 유자격자의 운전

- 매단 물건의 이동범위 내의 안전 확인

- 매단 물건의 내릴 장소, 놓을 장소의 안전 확인

- 운전자 시각에 사람들이 들어올 위험이 있는 경우에 접촉방지조치

 

작업 시작 전 점검 사항

 

- 권과방지장치ㆍ브레이크ㆍ클러치 및 운전장치의 기능

- 주행로의 상측 및 트롤리(trolley)가 횡행하는 레일의 상태

- 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곳의 상태      

 

방호장치

 

과부하방지장치

정격하중 이상이 되면 과적재를 알리면서 자동으로 운반 작업을 중단시켜 과적에 의한 사고를 예방하는 장치

 <종류>

 - 기계식 : 스프링, 방진고무등의 처짐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스위치를 동작시켜 제어

 - 전기식 : 권상모터의 전류값의 변화에 따라 과전류를 제어

 - 전자식 : 화물의 부하 변화를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한 로드셀 등으로 감지하여 제어

② 권과방지장치

권상모터에 의해 로프가 과권되어 화물의 충격, 로프의 파단, 크레인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로프의 과다 감김을 제한하는 장치

  <종류 >

나사형 /  중추형 / 캠형

③ 후크해지장치 : 후크에 걸린 와이어로프 등의 이탈을 방지하는 장치

④ 레일정지기구 : 주행 또는 횡행 레일 양 끝에 설치하는 기계식(버퍼) 또는 전기식(리미트스위치)장치

⑤ 충돌방지장치

 동일한 주행레일에 2대 이상의 크레인이 설치된 경우 크레인 상호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⑥ 비상정지장치

 위험한 상태에서 급정지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운전자가 쉽게 조작 할 수 있는 위치와 구조로 되어야 하고 돌출된

 적색 누름 버튼으로 하여 수동복귀형식 이어

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