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관리 업무 지식

ISO 45001 Management Review

by selfstory84 2025. 4. 6.
반응형

# 경영검토

 

회사를 옮기고 나서 ISO 45001에 대한 경영검토가 바로 이번 주 입니다.

원래는 중대재해처벌법 반기보고 때문에 항상 7월과 다음 해 1월에 했던 것을 어떻게 하다보니 4월에 하게 되었습니다.

4월에 하려다보니 원본 데이터도 다 확보가 되지 않은 상태라 참 진행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말씀을 드려서 26년부터는 7월과 1월에 할 수 있도록 했고 이번 경영검토의 경우에는 일단 진행하고 7월 달에 추가로 보고를 드리기로 했습니다.

 

Management Review 상반기 자료에 꼭 들어가야하는 것들이 몆 가지 있습니다.

 

그 사항들을 좀 정리해서 알려 드리고자 합니다.

 

안전보건정책 및 목표 및 실적 (이해관계자의 니즈와 기대, 법규 변경 등을 포함할 것)

 

 

상반기의 경우에는 그 해의 안전보건정책과 목표에 대한 내용이 반드시 들어갑니다.

목표는 어떻게 세웠으며 그 목표에 이해관계자들의 니즈와 기대, 법규등록부 상의 변경 사항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도 명확하게 나타나야 합니다.

 

그래야 PDCA Cycle 중에 기획단계에서 정확한 인풋이 들어가서 그에 맞는 아웃풋인 목표가 나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만약 그 목표에 대한 실적도 반드시 규정하여 포함시켜야 합니다.

 

저는 목표 슬라이드 앞 쪽에 반드시 SWOT 분석표를 삽입해서 반영해둡니다.

그 분석 하나로 이해관계자의 니즈와 기대, 그리고 다양한 고려항목들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evious Management Review F/UP 사항

 

 

이전 경영검토 시 나왔던 사항들에 대한 F/UP 사항을 이야기하며 이전 경영시스템 내부심사 및 외부심사에 대한 사항도 반드시 고려되어 작성되어야 합니다.

 

이전에 경영검토를 제대로 했다면 분명히 심사 시 나왔던 보완사항들이 있을 것이고 그에 대한 조치사항도 다 있을 것이기 때문에 이 부분은 그렇게 어렵지는 않으리라 생각됩니다.

 

이 부분의 경우에는 평소에 자료에 대한 정리와 폴더 정리를 잘 해 두시기를 부탁 드립니다.

만약에 이 것이 잘 안 되어 있다면 이 페이지에서 헛점이 많이 발생할 수 있으니 유념 해 주시기 바랍니다.

 

계속적인 발전을 위한 기회에 대한 내용

 

 

저는 이 부분을 회사의 장기적인 프로젝트 내용으로 기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계속적인 발전이라는 것은 장기적인 프로젝트를 조금씩 개선해나가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어떤 시스템을 개선한다든지 어떤 법적인 운영체계를 개선하는 것은 시간이 걸리는 일이고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개선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런 부분들을 잘 이용하신다면 작성하실 수 있을 실 것으로 보입니다.

 

더불어 인력이나 시스템의 적격성 부분도 체크해서 반영해 두어야 합니다.

안전보건에는 많은 회의체들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산업안전보건위원회나 도급사 협의체, 안전보건관리체계 상 관리감독자 등 적격성을 확인해야 할 많은 사항들이 있습니다.

 

가장 쉬운 예가 산업안전보건위원회 / 안전보건관리체계 입니다.

적절한 인력구성으로 회의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적합한 관리감독자 및 안전보건 관련 인력들이 배치되어 있는지 등 인력 부분에서도 이런 적격성 지속 확보여부를 체크해야 합니다.

 

조직도를 한 번 검토해보시고 그 적합여부를 경영검토에 넣어 두시는 것도 필수적인 사항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외에는 중대재해처벌법에 나오는 반기점검항목들을 추가적으로 반영하시면 좀 더 알찬 경영검토 자료를 작성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업무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