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안전보건진단
안전보건진단 시 주요 진단 내용을 공유 드립니다.
일전에 안전보건진단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을 소개해 드렸습니다.
2024.10.12 - [안전관리 업무 지식] - 안전보건진단
안전보건진단
# 안전보건진단 안전보건진단 제도란 사업장의 산업재해를 근본적으로 예방하기 위해 잠재적 유해·위험요인을 발견하고 그 개선대책을 수립할 목적으로 사업장이 안전보건진단기관의 전
selfstory84.tistory.com
추가로 안전보건진단의 점검 내용에 대한 소개를 해 드리고자 합니다.
[별표 14] 안전보건진단의 종류 및 내용(제46조제1항 관련)(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pdf
0.10MB
반응형
종류 | 진단내용 |
종합진단 | 1. 경영ㆍ관리적 사항에 대한 평가 가. 산업재해 예방계획의 적정성 안전보건관리계획서 / 실적 나. 안전ㆍ보건 관리조직과 그 직무의 적정성 안전보건관리조직도 / 법적 선임자 임명장 및 직무 수행 기록 다.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설치ㆍ운영, 명예산업안전감독관의 역할 등 근로자의 참여 정도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관리규정 / 회의록 및 자료 / 회의록 서명본 라. 안전보건관리규정 내용의 적정성 안전보건관리규정 (주요 사항에 대한 심의.의결이 산업안전보건위원회 통해서 이루어졌는지 점검) 2. 산업재해 또는 사고의 발생 원인(산업재해 또는 사고가 발생한 경우만 해당한다) 산업재해보고서 / 산재처리기록 및 문서 3. 작업조건 및 작업방법에 대한 평가 SOP 및 작업 절차서 리스트 4. 유해ㆍ위험요인에 대한 측정 및 분석 가. 기계ㆍ기구 또는 그 밖의 설비에 의한 위험성 나. 폭발성ㆍ물반응성ㆍ자기반응성ㆍ자기발열성 물질, 자연발 화성 액체ㆍ고체 및 인화성 액체 등에 의한 위험성 다. 전기ㆍ열 또는 그 밖의 에너지에 의한 위험성 라. 추락, 붕괴, 낙하, 비래(飛來) 등으로 인한 위험성 마. 그 밖에 기계ㆍ기구ㆍ설비ㆍ장치ㆍ구축물ㆍ시설물ㆍ원재료 및 공정 등에 의한 위험성 바. 법 제118조제1항에 따른 허가대상물질,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관리대상 유해물질 및 온도ㆍ습도ㆍ환기ㆍ소음ㆍ진동ㆍ분진, 유해광선 등의 유해성 또는 위험성 위험성 평가 규정 / 평가결과 / 개선보고서 / 공정 위험성평가서 / 작업환경측정 보고서 5. 보호구, 안전ㆍ보건장비 및 작업환경 개선시설의 적정성 안전보호구 관리규정 / 지급관리대장 / 안전인증서 / 구매 명세서 등 6. 유해물질의 사용ㆍ보관ㆍ저장, 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 근로자 교육 및 경고표시 부착의 적정성 MSDS 비치 및 특별안전보건교육 실시 여부 현장 내 경고표지 및 MSDS 비치 상태 7. 그 밖에 작업환경 및 근로자 건강 유지ㆍ증진 등 보건관리의 개선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
안전진단 | 종합진단 내용 중 제2호ㆍ제3호, 제4호가목부터 마목까지 및 제5호 중 안전 관련 사항 |
보건진단 | 종합진단 내용 중 제2호ㆍ제3호, 제4호바목, 제5호 중 보건 관련 사항, 제6호 및 제7호 |
반응형
'안전관리 업무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병자의 근로금지.제한 (1) | 2024.12.07 |
---|---|
건설공사 발주자의 산업재해 예방조치 (5) | 2024.12.04 |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구성해야 할 사업의 종류와 상시 근로자 수 (4) | 2024.12.01 |
한국산업분류코드 보는 법 (1) | 2024.11.23 |
안전보건관리계획서 (0) | 2024.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