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4

나만의 반성 # 셀프 반성 10월은 업무적으로 너무 바쁜 한 달이었기에 블로그에 글을 쓰는 것을 계획한 분량만큼 하지 못했습니다. ISO 심사 수검 / 고객사 안전지원 및 점검 / 회사 야유회 행사 / 소방훈련 / 협력회사 평가 / 외부 교육 및 사내 리더쉽 교육 등 너무 일정이 많아 10월에는 휴가를 하루도 쓰지를 못했습니다. 잘된 성과도 있고 보완점이 나온 부분도 있었지만 업무적으로는 많은 일정을 소화해 낸 달이었습니다. 뭐 핑계일 뿐이지만 조금은 일정에 치여 나 자신만의 아웃풋을 도출하는 것에는 좀 부족함이 있지 않았나 하는 반성을 해 봅니다. 매일 무언가를 한다는 것은 정말 힘든 일입니다.회사에서도 가장 유지하기 힘든 것이 일일업무일지와 일일점검에 대한 부분 입니다. 그래서 시설 쪽이나 다른 부문에서 일일로 .. 2024. 11. 1.
위험성평가 인정 사업 내실화에 대한 노동부 설명 자료 최근 아리셀 화재사고 이후에 위험성평가 인정 사업에 대한 말이 많았습니다. 아리셀의 경우 위험성평가 우수 사업장 인정을 받았었고 이번 화재 사건을 통해서 그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 되고 있었던 상황 입니다.https://www.yna.co.kr/view/AKR20240630028352061 이 것과 관련하여 최근 고용노동부에서 위험성평가 인정사업에 대한 발표를 아래와 같이 냈습니다. 고용노동부는 “위험성평가 인정 사업의 내실화를 위해 심사와 사후관리를 강화하겠다”면서 “환수 기준에 ‘인정 기간 중 중대재해가 발생한 경우’를 추가하는 법 개정을 신속하게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10월 8일 KBS , 헤럴드경제(온라인) 에 대한 고용노동부의 설명입니다[고용부 설명]□ 위험성평가 인정 사업은 신청 사업.. 2024. 11. 1.
연삭기 안전 # 연삭기의 위험요소 및 안전대책   1) 정의동력의 회전체에 부착하여 고속으로 회전 시키면서 가공재를 연마, 절삭하는 기계로서 직경이 5 cm 이상인 것 2) 연삭숫돌의 3요소입자 / 기공 / 결합제 3) 재해유형- 회전중인 연삭숫돌에  접촉함으로서 발생하는 재해- 연삭 분진이 눈에 튀어 들어가는 것- 숫돌 파괴로 인한 파편 비래 4) 숫돌파괴 원인① 작업면     - 숫돌의 회전속도가 너무 빠를 때      - 숫돌의 측면을 사용하여 작업할 때     - 숫돌에 과대한 충격을 가할 때② 구조면     - 숫돌 자체에 균열이 있을 때     - 플렌지가 현저히 작을 때     - 숫돌의 불균형이나 베어링의 마모에 의한 진동이 있을 때     - 작업에 부적당한 숫돌을 사용할 때     - 숫돌 반경 방.. 2024. 11. 1.
평범한 사람도 성공할 수 있다! # The 아웃풋 법칙 " 평범한 사람도 압도적 성공으로 이끈 단 하나의 원리 "아웃풋이란 ? " 타인에게 제공하는 상품이나 서비스, 콘텐츠 등의 결과물, 세상과 연결되도록 노력하는 행위 또는 시간 및 산출물 " 가장 중요한 것은 타인을 위해 , 세상과 연결되도록이라는 것입니다.타인을 위해 세상과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생산할 수 있느냐가 아웃풋이 있느냐 없느냐 하는 부분의 가장 중요한 키가 되지 않을까 생각 합니다.  아웃풋의 주요 유형은 무엇일까 ? 1) Message (메시지)어떤 메시지를 던지고 싶은가 2) Contents (콘텐츠)어떤 형태로 메시지를 전달하고 싶은가 3) Business (비지니스)어떻게 사람들을 매혹하고 구매를 유발할 수 있는가4) Investment (투자) 어떻게 자원을 효.. 2024. 11. 1.
교류아크, 산소아세틸렌용접기 # 교류아크, 산소아세틸렌용접기 안전  교류아크용접기 교류아크용접은 모재와 용접봉 사이에 arc를 발생시켜 그 열로서 모재와 용접봉을 녹여서 모재를 용접하는 것.재해유형예방대책1>감전   ▪ 홀더의 통전부에 신체 접촉   ▪ 전선의 일부 피복 손상으로 절연 파괴▪ 절연용 보호구(절연장갑,안전화)착용▪ 전원스위치 개폐시 접촉 불량▪ 전격방지기 설치2>유해광선   ▪ 아크로 인한 강렬한 광선으로 눈과 피부의 손상▪ 보안경, 보안면 착용3>화상   ▪ 아크광에 의한 피부손상 및 스패터, 슬래그 등에 의해 화상▪ 장갑, 앞치마, 안전화, 보안면 착용4>중독   ▪ 유해가스에 의한 중독▪ 국소배기장치, 환기시설 설치▪ 방독 및 방진마스크 착용5>화재, 폭발▪ 가연성 물질제거,  ▪ 비산구역청소 ▪ 안전담당자 배치.. 2024. 10.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