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관리 업무 지식116

화재 예방법 - 주요 제정내용 (1) # 소방안전관리자 / 화재예방법 주요 내용최근 화성 아리셀 화재 사고 이후로 소방과 화재 예방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2022년 12월부터 하기 표와 같이 기존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이 화재예방법과 소방시설법으로 분리개편되어 운영되고 있습니다. 종전개편주요 내용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화재예방법화재예방계획, 화재안전조사 (소방검사), 화재예방강화지구, 화재안전영향평가, 소방안전관리자, 화재예방안전진단, 화재안전문화 조성 등→ 화재예방을 위해 준수해야 하는 사항 및 안전관리 등 화재예방체계를 화재예방법으로 통합소방시설법건축허가동의 강화, 자동차 소화기 의무화 (5인승 이상) , 방염, 화재안전기준, 소방시설 설치기준 개선, 자체점검.. 2024. 8. 31.
휴게 시설 설치 의무 # 휴게시설 설치 의무  최근 열대야 및 폭염이 지속 되면서 야외 작업자의 안전.보건 확보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 입니다. 2021.8.17.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으로 인해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28조의2에 따라 사업주는 근로자(관계수급인의 근로자를 포함)가 신체적 피로와 정신적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도록 휴식시간에 이용할 수 있는 휴게시설을 갖추어야 합니다.※ 미설치 시 과태료 1천5백만원 이하, 설치ㆍ관리기준 미준수 시 과태료 500만원 이하1) 적용 대상 - 상시 근로자* 20명 이상(건설업은 공사금액 20억원 이상) 사업장- 7개 직종 근로자**를 2명 이상 사용하는 상시 근로자 10인 이상 사업장  * 상시 근로자 수 공사금액에는 관계수급인의 근로자와 공사금액을 포함 ** ➊전화.. 2024. 8. 29.
중대 재해 발생 시 작업 중지 조치 # 중대재해 혹은 산업재해 발생 시 처리 절차 및 관련 사항 산업 재해 발생 시에는 재발방지를 위해 재해발생 원인과 재발방지 계획 등을 사업주가 기록하고 보존하도록 의무화 되어 있습니다.사업주는 산업재해 발생 후 발생 날로부터 1개월 이내에 관할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산업재해조사표 제출 의무가 있으며,  중대재해의 경우 지체 없이 관할 지방고용노동관서에 보고 해야만 합니다.(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지 제30호 서식 참조 - 산업재해조사표) 그리고 중대재해 발생 시에는 작업중지 조치가 기본적으로 내려지며 사업장 전체 혹은 재해 발생 공정 및 유사 공정에 대한 작업중지가 내려집니다.이 부분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 봅시다. 1) 관련 법령산업안전보건법 제 55조 (중대재해 발생 시 고용노동부 장관의 작업중지 조치.. 2024. 8. 29.
유해위험물질 분류 - 산업안전보건법 # 산안법에 따른 유해위험물질 분류 1)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유해위험물질 분류표중요 물질관리대상물질 : 특수건강검진 / 작업환경측정 / 환기장치 설치 등의 보건 조치가 필수인 물질이며 일반 산업현장에서 가장 많은 종류의 물질들이 해당 물질에 속한다.특별관리물질 : 용접봉 등 일부 물질에 해당하며 특별관리물질의 구입, 배포, 사용에 대한 취급일지의 작성 및 유지관리가 필요한 물질을 의미한다.종류정의물질 예시근거유해물질제조등 금지물질제조, 수입, 양도, 제공 불가B-나프틸아민과 그염등법 제 117조시행령 제 87조허가대상물질대체물질이 개발되지 않은 물질베릴륨등법 제 118조시행령 제 89조관리대상물질근로자에게 상당한 건강한 건강장해를 일으킬 우려가 있어 법 제 39조에 따라 건강장해 예방을 위한 보건상 조.. 2024. 8.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