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관리 업무 지식114 안전보건관리체계 - 협력회사 평가 # 적격성 평가 중대재해처벌법에서 중요한 부분 중에 하나이다.이 장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은 음영 표시를 해 두었으니 꼭 숙지하시길 바란다.이 내용만 정확하게 숙지한다면 평가표나 관련 서류 작성 시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관련 법령 중대재해처벌법 시행령 제4조 9호제 3자에게 업무의 도급, 용역, 위탁 등을 하는 경우에는 종사자의 안전 및 보건을 확보하기 위해 다음 각 목의 기준과 절차를마련하고 그 기준과 절차에 따라 도급, 용역, 위탁이 이루어지는지를 반기 1회 이상 점검할 것가. 도급, 용역, 위탁 등을 받는 자의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조치 능력과 기술에 대한 평가 기준 및 절차나. 도급, 용역, 위탁 등을 받는 자의 안전.보건을 위한 관리비용에 관한 기준다. 건설업 및 조선업의 경우 도급, 용역.. 2024. 7. 12. 위험성 평가 - 기초 사항 # 위험성 평가 정부에서 발표한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 및 산업안전보건 정책 중 가장 중요한 항목이다. 자기규율예방체계 확립이라는 구호 아래 가장 중요하게 강조한 항목이 바로 위험성평가이다.사실 안전을 하는 사람이라면 위험성 평가를 안 들어본 사람은 없을 것이다. 현업에서 위험성 평가를 하면서 느꼈던 중요한 기초 사항들을 공유 해 보고자 한다. 1. 실시 전 필수 파악 사항 - 최대한 많은 정보 사전 파악하는 것이 Point!1) 작업 공정 제조업이라면 자재 입고부터 시작해서 최종 제품 완성및 출고까지 전 과정을 한 번 나열해 보자.예시) 자재 입고 - 세척 - 가공 - 용접 - 조립 - 기능 시험 - 포장 - 출하2) 사용 기계 / 공구 / 화학물질 각 과정 중에 사용하는 기계 / 공구를 전부 다 나열.. 2024. 7. 11. 24년 사업주안전보건체계 요새 안전보건관리체계에 관한 자료들이 참 많다.여러가지 자료들을 보다가 사람의 신체에 비유하여 표현한 이 그림이 마음에 들었다. 간단하면서도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본다. 한 번 꼭 읽어 보시길 추천 드린다. 추가로 산업안전대진단에 대한 OPS도 함께 첨부 드리니 50인 미만 업체에서는 꼭 신청하셔서도움을 받아 보시길 바란다. 2024. 7. 9.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 안전.보건 업무를 총괄.관리하는 전담 조직 설치 가장 중요한 위험성평가에 앞서 2번째 항목인 안전.보건 업무를 총괄 및 관리하는 전담 조직 설치에 대한 사항을 알아보자. 이 부분에서는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안전보건관리담당자, 산업보건의의 선임에 대한 내용도 포함 되어 있으니 숙지가 필요하다. 일단 각각의 선임 관련 법령을 참조하기 바란다. - 안전관리자 : 산업안전보건법 제 17조 / 시행령 별표 3 안전관리자를 두어야 하는 사업의 종류, 사업장의 상시근로자 수, 안전관리자의 수 및 선임방법 본문" data-og-description="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시행 2024. 7. 1.] [대통령령 제34603호, 2024. 6. 25., 일부개정]" data-og-host="www.law.go.kr" data-og-source-url="https:.. 2024. 7. 7. 이전 1 ··· 25 26 27 28 29 다음